거래량 감소 속 강한 수요와 서울 집값 상승의 이면, 정부 대출 규제와 공급 대책의 필요성 분석
목차
- •00:00 거래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강한 수요
- •00:16 김작가 TV 방송 개요
- •00:36 서울의 집값 상승 원인
- •01:00 시장의 거래 허가와 대출 규제
- •01:58 정부의 주택 담보 대출 규제
- •03:12 주택 시장의 변화와 심리
- •04:56 서울 및 수도권의 거래량과 집값
- •06:48 시장의 심리와 거래량 감소
- •09:22 서울과 지방의 경향
- •11:01 정부 정책과 향후 전망
- •13:59 시장의 변화와 공급 대책 필요성
- •16:01 서울과 지방의 차별화된 대응 필요
- •19:02 시장의 예측과 불확실성
00:00 거래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강한 수요
거래량이 완전히 줄어들었음에도 불구하고, 시장의 수요가 여전히 강한 상태입니다. 시장에 안정적으로 갈 수 있는 대책이 나오지 않으면, 다시 시장이 불신하게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00:16 김작가 TV 방송 개요
이재명 정부가 시작된 지 50일 정도가 지나고 있습니다. 7월이 다가오고, 올해 상반기는 지나갔습니다.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두 달이 지났는데, 이번 방송에서는 유기치 대책과 여러 가지에 대해 질문드리겠습니다. 우선, 올해 상반기 동안 서울 일부 지역에서는 집값이 급등했는데, 그 이유에 대해 여쭤보겠습니다.
00:36 서울의 집값 상승 원인
서울의 집값이 지난 2-3년 동안 각각의 요인들로 인해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정부의 특례복음과 신생활론 등을 통해 연착륙을 시도했지만, 상반기에는 급격하게 움직였습니다. 2022년 하반기부터 눌려있던 시장이 다시 상승세를 보이게 된 것은 토지 거래 허가와 같은 요소가 결합했기 때문입니다.
01:00 시장의 거래 허가와 대출 규제
특히, 1월 금융위원회에서 대출을 풀면서 은행들이 대출을 적극적으로 시행했습니다. 이와 함께 토지 거래가 풀리면서 젊은 투자자들이 시장에 진입하게 되었고, 그 결과 3월부터 집값이 상승하기 시작했습니다. 4월에는 다소 주춤했지만, 이 또한 분명한 상승 조짐이었습니다.
01:58 정부의 주택 담보 대출 규제
정부는 지난달 27일 주택 담보 대출에 대한 강력한 대출 규제를 시행했습니다. 이 대책은 강남 지역의 집값 상승을 일시적으로 잡는 효과를 가져왔습니다. 그러나, 이와 함께 노도강 지역 및 기타 서울 외 지역에서 역풍선 효과가 나타났습니다. 고가 주택에 대한 대출 규제가 이루어졌고, 다주택자에 대한 추가 대출 제한도 포함되었습니다.
03:12 주택 시장의 변화와 심리
현재 서울과 수도권의 주택 시장은 이전과 크게 다르지 않은 분위기를 보이고 있으며, 공인중개사나 일반 소비자들이 느끼는 심리는 다소 위축된 상태입니다. 젊은 투자자들은 여전히 부동산 투자에 대한 희망을 가지고 있지만, 거래량은 현저히 줄어들었습니다.
04:56 서울 및 수도권의 거래량과 집값
현재 서울과 수도권의 집값은 여전히 상승세를 보이고 있지만, 전국적으로 보면 지방 시장은 더 큰 하락세를 겪고 있습니다. 따라서, 서울과 수도권의 하락세와 지방의 하락세는 다르게 분석해야 합니다.
06:48 시장의 심리와 거래량 감소
현재 시장은 거래량이 줄어들면서, 소비자와 소유자 간의 심리적 차이가 커지고 있습니다. 거래량이 줄어들면서 소유자들은 집값이 오를 것이라는 기대감을 품고 있으며, 매수자들은 가격이 낮아질 때까지 대기하는 상황입니다.
09:22 서울과 지방의 경향
서울은 일부 지역에서 투자 및 투기 대세가 유지되고 있지만, 지방은 그와 같은 분위기를 유지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서울과 지방은 각기 다른 패턴으로 시장에서 반응하고 있습니다.
11:01 정부 정책과 향후 전망
정부의 대출 규제가 강력하기 때문에 수요가 급감할 수 있지만, 이 대책이 언제까지 지속될지는 불확실합니다. 서울 및 수도권의 입주 물량이 부족하다는 점이 시장에 여전히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13:59 시장의 변화와 공급 대책 필요성
추가적으로 정부의 공급 대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지금의 물량 부족 상태가 지속된다면, 다시 가격 상승이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16:01 서울과 지방의 차별화된 대응 필요
서울은 입주 물량 부족이 큰 이슈이며, 서울의 일부 지역은 여전히 투자와 투기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런 시장의 차별화된 특성을 고려하여 대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19:02 시장의 예측과 불확실성
지방 시장은 예전과 같은 상승세를 보이기 힘들 것으로 예상되며, 서울의 여덟 개 구간은 지속적으로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지방에서는 강력한 수요를 기대하기 어려울 것입니다.